4·16재단의 어떤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추천검색어
홈 / 알림마당 / 안전사회활동
총 45건 | 페이지 1 / 6
[재난너머, 일상이 안전한 사회만들기 프로젝트] 1기 사업보고회 영상 “너머의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
[재난너머, 일상이 안전한 사회만들기 프로젝트 1기 사업보고회] “너머의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 세월호참사 이후 ‘아이들이 꿈꿀 수 있는 일상이 안전
[재난 현장 속 자원봉사자를 찾습니다] 사업을 돌아보며
4·16재단은 지난 3년간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재난 현장에서 애써주신 28명의 자원봉사자를 선정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시민들
공감과 연대로 반환점을 돌며(김민환, 4·16재단 기억과추모사업위원회 위원장)
2025년 2월 13일.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4.16생명안전공원 착공식이 열렸습니다. <세월호피해지원법>에 명시된 ‘추모공원 조성 및 추모기념관 건립’이 세월호 참사가
재난피해자권리센터 개소 1주년 특별강좌 - 4강.국제인권법과 재난피해자의 권리
저는 다양한 활동을 했었는데 그 중 하나가 국제기업감시활동이었습니다. 한번은 필리핀 내 한국기업으로부터 부당행위를 당한 외국인 노동자들을 3시간에 걸쳐 인터뷰해 발생한
재난피해자권리센터 개소 1주년 특별강좌 - 3강.젠더와 재난피해자의 권리
“법에 계엄은 재난으로 규정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법의 규정 여부는 중요합니다. (여성신문. 2014.04.15 “일본과 미국은 재난대책에
‘나의 노란 고래에게’ 뮤직비디오 (2024년 4.16 안전문화 창작곡 공모전 최우수상)
[2024년 4.16 안전문화 콘텐츠] ‘나의 노란 고래에게’ 뮤직비디오4·16재단에서는 세월호참사를 기억하고 ‘아이들이 마음껏 꿈꾸는 일상이 안전한 사회’를 만
재난피해자권리센터 개소 1주년 특별강좌 - 2강.재난서사와 모두의 안전권
<재난서사와 모두의 안전권>을 주제로 한 오늘의 강사는 전주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입니다. 이태원에서의 국가주의 재난서사첫 번째, 재난의 사사화. 참사 초기
재난피해자권리센터 개소 1주년 특별강좌 - 1강.지방자치와 재난피해자의 권리
순간 정적이 흐릅니다.이게 지방자치와 재난피해자의 권리라는 주제와 어떤 연관이 있지?의문이 생길 즈음, 강사님이 침묵을 깹니다. 하승우 이후연구소 소장님의 강의는 한국에서